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43 [SQL] SQL에서 FULL JOIN과 "1=1" 구문 이해하기 🧐 SQL을 다루다 보면, 테이블을 조인하는 것은 매우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작업이에요. 이를 통해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관련된 컬럼을 기준으로 행을 결합할 수 있죠. 하지만, 특정 상황에서 유용하거나 눈에 띄는 구문이 하나 있어요: FULL JOIN을 1=1 조건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죠. 이게 무엇을 의미하고 사용했을 때 무슨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해요. 🕵️♂️ FULL JOIN이란? FULL JOIN, 즉 완전 외부 조인은 두 테이블의 모든 행을 결합하고, 한쪽 테이블에서 매치가 없는 경우 NULL로 채우는 방법이에요. 이는 매칭되는 행이 다른 테이블에 없어도 양쪽 테이블의 모든 레코드를 보고 싶을 때 사용되죠. "1=1" 조건이란? 1=1 조건은 항상 참이 되는 거죠. SQL 문에서 이를 사.. 2023. 12. 12. [SQL] 데이터 통찰의 열쇠: LAG로 이전 날짜의 데이터 비교하기 SQL의 LAG 함수는 데이터 분석에 있어 중요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. 이 함수는 현재 행에서 지정된 수의 행 앞에 있는 데이터를 검색합니다. 이를 통해 현재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시계열 데이터에서 이전 시점의 값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. 온도 변화 추적하기: LAG 함수로 이전 날짜의 날씨 비교하기 예를 들어, 날씨 데이터가 있는 테이블 Weather가 있고, 각 날짜(recordDate)와 해당 날짜의 온도(temperature)를 기록하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. 여기서 LAG 함수를 사용하면, 각 행의 온도와 이전 날짜의 온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. SELECT id, recordDate, temperature, LAG(recordDate, 1) OVER (ORDER BY rec.. 2023. 12. 11. [SQL] SQL 윈도우 함수(Window Functions): 데이터 분석의 마법사가 되는 방법 🧙♂️🔍 안녕하세요, SQL 마법사 여러분! 오늘은 SQL의 숨겨진 보석, 바로 윈도우 함수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. 🧙♂️🔮 윈도우 함수는 데이터 분석의 세계에서 강력한 도구로, 복잡한 데이터 집합을 쉽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. 집계 함수와는 달리, 윈도우 함수는 각 행의 독특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데이터의 깊은 통찰력을 제공합니다. 이 블로그를 통해 여러분도 SQL 윈도우 함수의 마법 같은 힘을 체험할 수 있을 거예요! ✨📊 SQL 윈도우 함수란? 윈도우 함수는 현재 행과 관련된 테이블의 일련의 행을 대상으로 복잡한 계산을 수행합니다. 집계 함수와는 달리 행을 하나로 축소하지 않고 개별 행의 정체성을 유지합니다. SELECT [Column1], [Window Function] OVER (PAR.. 2023. 12. 10. [Python] Streamlit을 이용해서 챗봇만들기 (10분안에) 🤖💻 안녕하세요, 오늘은 LLM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멋진 웹 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빠르게 구축하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. Streamlit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면, 몇 분 만에 효과적인 웹 앱을 만들 수 있답니다. 👩💻🌐 Streamlit 소개 웹 개발 경험이 없는 프로그래머도 쉽게 시각화를 구축할 수 있는 간단한 API를 제공합니다. 챗봇을 위한 GUI를 구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streamlit-chat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. pip install streamlit pip install streamlit-chat pip install openai import streamlit as st from streamlit_chat import message import openai # Assign.. 2023. 12. 1. 이전 1 ··· 48 49 50 51 52 53 54 ··· 61 다음 반응형